본문 바로가기
 

주요업무

  • 연구소
  •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
  • 주요업무

연구목표

특화작목의 고품질 안정생산 경쟁력 강화

  • 소비자 기호에 맞는 과채류 신품종 육성 및 보급
  • 고품질, 환경친화형 생력재배 기술체계 확립
  • 지역특화작목의 영농현장 애로기술 개발

중점 추진방향

  • 국내외 우량 유전자원의 보존, 품종화 연구 추진
  • FTA 대응 국제경쟁력 있는 과채류 우량 신품종 육성
  • 고품질 참외생산 재배기술 개발 및 소비촉진 연구
  • 주요 병해충 친환경 방제체계 확립으로 안전생산 정착
  • 생산현장을 찾아가는 서비스 농업 및 컨설팅 강화

신수요 창출 과채류 품종 육성

소비자 선호형 참외 신품종 육성 연구에 대해 내용, 성과, 향후방향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내용
  • 단체급식용 소과종 참외 신품종 개발
  • 고품질 내병성 참외 신품종 개발
  • 멜론 참외 유전자원 관리 기관 지정('80년)
  • 수출용 딸기 고경도 신품종 육성
성과
  • 과중 80~100g, 껍질째 먹는 참외 선발
  • 재래형 참외 품종 등록 : 열골참외 등 2품종
  • 참외형 멜론 선발 : 5계통
  • 고당도 참외 계통 선발 : 5조합 20계통
향후
방향
  • 참외류 유전자원 지속적 수집
  • 고당도, 저발효계통 중간모본 선발
  • 재래종 참외 형질복원 및 특성개량
  • 고당도 저발효 단성화 계통 참외 품종 육성
  • 수출용 딸기 고경도 모본 선발

참외 대목 개발

참외 대목 개발에 대해 내용, 성과, 향후방향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내용
  • 호박 유전자원 수집
  • 계통육성 및 생산력 검정 우량대목 육성
성과
  • 유전자원 수집 및 보존 : 300점
  • 저온신장성 및 접목친화성 계통선발 : 9계통
  • 참외 우량대목 품종등록 : 대가천토좌
향후
방향
  • 호박류 유전자원 지속적 수집
  • 선충저항성 및 내병성 계통선발
  • 종간교잡 및 저항성 유전자 도입
  • 고정종의 대목 품종선발
  • 복합 내재해성 F1 우량대목 육성

참외 생리장애 발생경감 기술연구

참외 생리장애 발생경감 기술연구에 대해 내용, 성과, 향후방향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내용
  • 참외 발효과 발생경감 연구
  • 참외 기형과 발생경감 연구
  • 참외 조기고사 발생원인 구명
성과
  • 발효과 발생기작 구명
  • 재배환경 : 벌수분, 착과제, 유인방법 등에 의한 장해경감
  • 토양환경 : 관수 및 시비량, 엽면시비, 지중온도 등에 의한 경감
향후
방향
  • 발효과, 기형과의 발생환경 구명
  • 미량원소의 역할 구명
  • 발효과 발생 생리대사 과정 구명
  • 꽃가루 수분 방법 구명

수출용 딸기 신품종 육성 및 보급

수출용 딸기 신품종 육성 및 보급에 대해 내용, 성과, 향후방향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내용
  • 중일성 고경도 딸기 신품종 개발
  • 고경도 수출용 딸기 신품종 개발
  • 경북 육성 신품종 딸기 모주 보급 확대
성과
  • '16년 환타 품종 출원(여름재배용)
  • 허니벨, 베리스타 2품종 등록
  • 싼타, 베리스타, 한운, 환타 등 우수품종 원원묘 증식 및 보급
향후
방향
  • 딸기 생산비 절감 기술개발
  • 딸기 생산 기술개선
  • 딸기 주년생산 기술체계 확립

고품질 과채류 연중 안정생산 체계 확립

고품질 과채류 연중 안정생산 체계 확립에 대해 내용, 성과, 향후방향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내용
  • 기후변화 대응 참외 우량묘 생산기술 연구
  • 단동 비닐하우스 에너지절감 패키지 기술 연구
  • 하절기 참외 시설 온도하강 기술 연구
  • 시설원예 ICT 융복합 첨단온실 시스템 연구
성과
  • 참외 LED 보광육묘 기술 확립(초기 수확량 20% 증가)
  • 참외 점적 관수 육묘 트레이 개발(특허출원)
  • 패키지 기술 : PO계 필름+기능성보온덮개+연결하우스
  • 기술효과 : 동절기 수확소요일수 7일 단축, 초기 수확량(3~4월) 47% 증가
향후
방향
  •  ICT 융복합 기술을 접목한 참외 1세대 스마트팜 시범모델 설정
  • 스마트팜 실증 현장 연구 : 성주군 시범사업 5개소
  • 최적 환경관리 데이터 수집 및 분석
  • 참외 스마트팜 보급형 모델 개발 및 매뉴얼 작성

업무관련사진

  • 우량품종 육성을 위한 인공수분
  • 100g 내외의 소과종 참외 육성
  • 호박 유전자원
  • 육종 선발 포장
  • 우수계통 인공수분
  • 딸기 계통선발
  • 중국 싼타 육묘 포장 시찰
  • 몽골 국제 공동연구 교류
  • 딸기 인공교잡
  • 딸기 지역적응 선발
  • 딸기 싼타데이 홍보
  • LED 육묘시스템
  • 기능성 보온덮개
  • 공기유동펜 시설 열분포
  • 참외 스마트팜 환경제어
  • 참외협력단 현장컨설팅
  • 딸기협력단 화아분화 세미나
  • 현장평가 기술조기 보급
담당부서
연구개발국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
담당자
백창현
전화번호
054-931-6789
최근수정일
2023.03.09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?

사용편의성 만족도 및 의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