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 

주요업무

  • 연구소
  • 영양고추연구소
  • 주요업무

비전과 목표

고추산업의 경쟁력 확보농가소득 향상

 

농업인과 함께하는
전문연구기관

  • 고품질, 내병성, 지역특화 고추 품종 육성
  • 기후변화 대응 안정생산 및 가공기술 확립
  • 고추 병해충 발생예측 및 방제 기술확립

중점연구방향

  • 고추 고품질, 내병성 지역특화품종 육성
  •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수출용 고추 신품종 육성
  • 바이러스, 탄저병에 강한 재래종 품종 육성
  • 유전자원 수집 및 평가로 육종소재 선발
  • 이상기상 대응 고품질 안정생산 기술 개발
  • 스마트팜 적용 하우스 수경재배 기술 개발
  • 고추 칼라병(TSWV) 방제기술 개발

고품질 내병성 고추 품종 육성

  • 지역특화를 위한 고품질 복합내병성 재래종 고추 품종 육성
  • 웅성불임 및 분자마커기술을 이용한 내병성 품종 조기 육성
주요업무 중 고추 품질 차별화 지역특산 품종 육성에 대해 현황과 문제점, 추진계획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현황과 문제점
  • 재래종의 내병성 도입 및 품질 개량으로 지역특화 신품종 육성 요구됨
  • 웅성불임(GMS, CGMS) 및 분자마커기술 이용 품종육성으로 육종 효율 증진 필요
추진계획
  • 고추 유전자원 증식 및 특성 조사 : 60점(자체, 관리기관)
  • 고추 시판 유통품종의 재배, 병해충 등 특성평가 : 100점
  • 웅성불임계통 이용 지역특화 재래종 육성 : 6조합
    • 역병저항성 재래종 계통 육성 : 12조합
    • 수집 재래종 특성검정 및 선발 : 17계통
    • 우수 고색도 교배조합 생산력검정 : 7조합
  • 용도 다양성을 위한 풋고추용 계통 육성 및 선발 : 40계통
  • 분자마커기술 이용 복합내병성 재래종 품종육성
    • 여교잡 후대 전개 및 개체선발 : 수비초×19F4017 등 15조합
    • 선발개체 성분 분석 : 캡사이신, 당, ASTA 등

중국·베트남과의 국제공동연구 통한 신품종 육성

  • 유전자원 교환을 통한 우수형질 도입 및 고품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
  • 세대단축으로 신품종 조기육성 및 채소 육종사업 효율성 증대
주요업무 중 고추 친환경적 종합기술 투입 연구에 대해 현황과 문제점, 추진계획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현황과 문제점
  • 다양한 유전자원 확보를 통한 고품질 다수성 고추 품종 육성 요구
  • 세대단축을 통한 육종연한 단축으로 우수품종 조기육성 필요
추진계획
  • 중국 운남성농업과학원과의 고추 품종육성 공동연구
    • 우수 계통 및 유전자원 특성평가 : 20점(우리원 10점, 중국 10점)
    • 교배조합 특성검정 및 선발 : 고신미 절임용, 고색도 건고추용
    • 웅성불임계통 이용 교배조합 작성 : 0313965-5A(13GR039) 이용
    • 공동 육성품종 국내 적응성 검정 : 은홍 1호, 정취(절임용)
    • 공동 육성품종 중국 내 보급 : 정취(140ha), 은홍 1호(30ha)
  • 베트남 과수채소연구소와의 세대단축을 통한 신품종 조기육성
    • 우수 시판품종 분리 집단 세대단축(2세대/년) : 20DR001 등 5집단
    • 탄저병·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(TSWV) 저항성 계통육성 : 21DR001 등 4점

이상기상 대응 고품질 고추 안정생산 기술 개발

  • 비가림하우스 고추 안정생산을 위한 저온 및 고온피해 경감 기술 확립
  • 기후변화 및 장기가뭄 대비 노지고추의 물관리 기술 개발
주요업무 중 재래종 고추 지역 특산화 기술 개발에 대해 현황과 문제점, 추진계획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현황과 문제점
  • 봄철 이상저온, 여름철 폭염·집중호우로 농작물 피해 발생
  • 이상기상에 따른 밭작물 가뭄피해와 논재배 밭작물의 토양 과습에 의한 습해 발생으로 노지 밭작물의 생산성 변동이 심화
추진계획
  • 지중온도를 이용한 비가림하우스 저온 및 고온 피해경감 기술 개발
    • 봄철 지중열 이용한 하우스 고추 조기정식 효과 검정
    • 여름철 저온 지중공기를 이용한 하우스 내 고온피해 경감
  • 고추밭 물관리 개선을 위한 지중점적 및 배수관 설치기준 마련
    • 지중점적관 매설 깊이 : 30, 40, 50cm, 대조구(점적관수)
    • 지중점적관 매설 간격 : 70, 100, 140cm, 대조구(점적관수)

고추 병해충 발생예측 및 방제기술 개발

  • 고추 주요 병해충 발생 예측시스템 모델 고도화 및 현장적용
  • 기후변화에 따른 고추 주요 병해충 종합 방제체계 확립
주요업무 중 농업현장 맞춤형 실용화 기술 연구에 대해 현황과 문제점, 추진계획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현황과 문제점
  • 기후변화에 따른 고추 병발생 증가로 농가 피해증가
  • 고추 병해충 발생 변화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제기술 요구
추진계획
  • 고추 주요 병해충 발생양상 조사
    • 고추 주요 재배지역 20지점 고정조사(탄저병, 바이러스 등)
  • TSWV 피해 경감을 위한 꽃노랑총채벌레 방제기술 개발
    • 육묘기 : 육묘 하우스 토양소독 방법 및 약제방제 효과 검정
    • 생육기 : 화학적, 생물적 방제 등을 이용한 종합방제 기술개발
  • 고추 병해충 발생예측모델 검정 및 고도화
    • 예측모델 검정 병해충 : 탄저병, 담배나방, 총채벌레, 진딧물
    • 병해충 예보지역 확대 : 영양, 청도, 상주 → 경북전역 확대

고추 스마트팜 적용 수경재배 기술 개발

  • 고품질 재래종 고추 스마트팜 적용을 위한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
  • 재래종 고추의 용도 다양성 확보로 면적 확대 및 농가 수익 증대
주요업무 중 국·내외 고추 공동연구 협력과 강화에 대해 현황과 문제점, 추진계획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
현황과 문제점
  • 맛과 품질이 우수한 영양지역 재래종 고추에 대한 수요 증가
  • 건고추는 대부분 여름철 노지재배로 수량의 한계성이 있음
추진계획
  • 영양지역 재래종 고추 스마트팜 적용을 위한 수경재배 시스템 구축
    • 급액 농도 설정을 위한 EC 농도별 생육반응 분석
    • 수경재배용 배지 선발 및 모령에 따른 수량 비교
  • 재래종 풋고추 품종별 수경재배 생육 반응 비교
    • 재래종과 시판종(청양고추) 수경재배 생육 특성 및 기호도 조사
    • 품질분석 : 당함량, 매운맛 정도, 항산화물질, 식감 등
담당부서
연구개발국 영양고추연구소
담당자
신지혜
전화번호
054-683-1691
최근수정일
2022.12.21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?

사용편의성 만족도 및 의견